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

주니어로 입사하여 팀의 Manager로서 업무를 시작하게 된 통번역사 Eugene 님을 만나다

분 (읽는시간)
표지판 앞에 서 있는 사람

쿠팡에는 주니어부터 시니어로 성장하기까지, 각 커리어 단계별 명확한 역할과 책임이 존재하는 Career Path가 있습니다.  

Career Path는 쿠팡의 통번역사 직무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되고 있는데요. 쿠팡의 많은 사내 통번역사분들은 해당 트랙을 통해 커리어 성장을 도모하고 있습니다. 

그 중 2015년도에 주니어로 입사하여 올해 4 팀의 Manager로서 업무를 시작하게 된, 쿠팡 MPIT (Marketplace Interpreters and Translators) 팀의  Eugene님을 만나보았습니다. 

 

안녕하세요 Eugene님, 간단한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.  

안녕하세요, 2015년 쿠팡에서 주니어 통번역사로 입사 후, 약 9년간 근무하고 있는 MPIT (Marketplace Interpreters and Translators) 팀의 Eugene입니다. 제가 맡고 있는 팀은 Marketplace / Rocket Growth 조직을 메인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. 제가 처음 입사했을 때는 쿠팡 전체 통번역사가 30명 정도였던 것으로 기억하는데, 현재는 저희 통번역팀 인원만 해도 20명이 넘네요. 저는 올해 4월부터 MPIT-A팀의 매니저로서 통번역 업무뿐 아니라 팀 운영 업무도 맡게 되었습니다.  

오랜기간 쿠팡에 재직하시면서 다양한 변화의 흐름을 겪으셨을 것 같아요. 

통역 환경의 변화와 통역 리소스 자동배정 시스템인 ‘CouIST’ 두 가지를 가장 큰 변화로 이야기하고싶어요.  

우선, 코로나 이후 Zoom을 활용한 비대면 통역이 늘어나고, 재택의 비중이 높아진 것이 큰 변화 중 하나입니다. 재택 근무를 통해 현장 통역에서 허들이 되었던 기기 및 자리 세팅 등이 개선되었는데요. 현장 통역과 비교하였을 때 Zoom에서는 유저분들께서 헤드셋 세팅만 잘 해주시면, 발화자의 내용이 명확하게 들린다는 큰 장점이 있는 것 같아요.  

또한, CouIST는 정말 쿠팡의 통역 운영에 있어 자동화의 힘을 크게 느끼게 해준 시스템이라고 생각해요.  

기존에는 Office 365 캘린더에서 수기로 통역 일정을 조정해야 했기에 정말 테트리스 하듯 일정을 조율했었는데요. CouIST가 생기고 난 이후로 통역 일정 및 담당자를 시스템상으로 조정해주기 때문에 지원 조직이 커짐에 따라 수기로는 절대 해내지 못했을 부분까지 커버해주고 있다고 생각해요. 조직 규모와 속도를 맞추어 시스템이 발전해주었기에 조금 더 본연의 통역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것 같아요. 

Eugene님이 주니어부터 시니어가 되기까지는 개인적으로는 어떤 변화들이 있으셨나요?  

어떠한 기간의 구분을 두고 “이제 시니어가 되었다!”라고 느끼진 않았던 것 같아요.   

차이가 있었다면, 주니어 시절에는 통역에 대한 업무를 잘 수행하는 것에 포커싱을 많이 두었었어요. 하지만 점차 업무에 대한 pain point가 눈에 보이기 시작하고 개선을 위한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 시점이 있었던 것 같아요. 아이디어들도 마구 생각나고 팀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적극적으로 목소리도 내며 일하는 게 소위 “재밌다”라고 느껴졌던 시기가 왔어요. 이게 가장 큰 변화가 아니었을까 생각해요.    

 

Eugene님의 주니어 시절이 궁금해요. 기억에 남았던 실수나 피드백 등 소개해주실만한 에피소드가 있으실까요?  

번역을 진행했었을 때, 문서가 사용될 환경에 적절한 문체 및 어투와 다르게 번역하여 개선 피드백을 들었던 경험이 있어요. 혼이 나거나 쓴소리를 들은 것도 아닌데 혼자 피드백을 듣고 많이 속상해했던 기억이 나요. 지금 생각해보면 조금 민망하고 부끄럽기도 하네요. 이후에는 유저분들과 더 많이 소통하고 피드백도 중간중간 확인하며 놓치는 부분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했어요.  

또한 통역을 진행할 때 유저분들이 치열하게 논의하며 논쟁이 일어난 적이 있었어요. 당황했지만 감정적인 톤이나 무드를 신경쓰면서 오해가 생기지 않도록 통역을 했죠. 해당 미팅이 끝나고 유저분이 저희팀 매니저님을 통해 “She cares”라는 피드백을 전달해주었어요. ‘ 일처럼 신경써서 통역을 하면 점이 유저분들에게도 분명하게 느껴지는구나라고 생각하게 된 계기였습니다.  

 

한 회사에서 오랜 기간 지치지 않고 일할 수 있었던 계기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셨을까요?  

쿠팡에 통번역사들을 위한 조직 및 팀별 체계가 잘 갖추어져 있는 점이 빼놓을 수 없는 이유라고 생각해요. 체계적인 온보딩 프로세스와 도메인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통번역팀만의 잘 짜여진 커리큘럼을 통해 지치지 않고 차근차근 배워올 수 있었던 계기가 아닐까 싶어요.  

지루할 틈이 없다는 점도 크게 작용한 것 같아요. 쿠팡이라는 한 회사를 다니지만, 마치 여러 회사를 다니는 것처럼 조직이 변화하고 커지며 다양한 사업 및 여러 도메인을 경험해봤던 것이 늘 새로운 원동력이 되어준 것 같아요.  

 

이제는 팀의 매니저로서 고민도 많으실 것 같아요. 함께 일하고 싶은 인재상이 있다면 어떤 사람일까요?  

팀플레이어의 성향을 가진 사람’이라고 생각해요. 오늘 인터뷰를 준비하면서 나름대로 부담이 굉장히 컸어요. 사전 질문을 보고 어떤 사람이 우리 팀과 조직에 와서 잘 적응할 수 있을까 고민을 해보기도 했죠. 문득 혼자서 다 할 수 있었다면 ‘팀‘은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어요. 물론 혼자서도 업무하며 성장할 수 있는 학습력도 필요하지만, 여러 명이 의견을 나누고 공유했을 때 성장할 수 있는 깊이감이 다르다고 생각해요.  

 

시간 내주셔서 감사드립니다. 마지막으로 하고 싶으신 말씀이 있으실까요? 

최근 업무하면서 지치는 순간들이 있었는데, 이번 인터뷰를 제안 받으면서 제가 걸어왔던 길에 대해 다시 생각해볼 수 있었어요. 유저분들에게 받았던 피드백이나 무의식적으로 하고 있던 업무들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며 리프레시하는 계기가 되어준 것 같아요.  

또한 4월에 팀의 매니저가 되면서 매니저로서의 역량에 대해서도 늘 고민하고 있는데요. Open communications 통해 팀원 및 동료분들과 솔직한 이야기를 주고받으며 매니저로서도 잘 성장하고 싶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.  

추천 글